지리다방

고택에서듣는인문학강좌59_ 이윤옥, <여성독립운동가의 시린 삶 - 서간도에 들꽃 피다>(2016.11.26, 토, …

산처럼이산 | 766

쉰아홉째 고택에서듣는인문학강좌는 여성 독립운동가의 시린 삶과 만나

1126일 원불교성주성지에서, <서간도에 들꽃 피다>란 주제로


빼앗긴 나라를 훔치고 지나는 바람이 야속하다고 투정하지 마라. 어린 댕기머리 처녀들 줄지어 쇠창살에 갇혔다고 슬퍼하지 마라. 봄 되면 항구로 불어올 따스한 바람 타고 외로운 기러기들 서로 등 기대어 날아오듯, 동포들아 기회는 두 번 다시 오지 않으니 때를 당하여 맹렬히 일어나 멸망의 거리로부터 자유의 낙원으로 약진하라. 자유가 속박에 사는 것보다 나으리라.라고 글 쓴 이윤옥 소장은 1959년 수원에서 나, 한국외국어대에서 일본문학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외국어대 연수평가원 교수, 일본 와세다대 객원연구원, 민족문제연구소 운영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내고, 지금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으로 한일 두 나라 우호증진을 위한 밑거름을 놓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항일 여성독립운동가를 다룬 서간도에 들꽃 피다(6), 영문판 시집 41 Heroines, Flowers of the Morning Calm등 시집이 있고, 신 일본 속의 한국문화 답사기, 창씨개명된 우리 풀꽃등이 있다.


이달 강좌가 마련되는 원불교 성주성지는 대종사의 뒤를 이은 원불교 2대 종법사인 정산 송규 종사가 탄생하여 성장하고 구도한 곳이다. 시인 고은은 빗돌에 정산종사 구도길 달마산을 넘어 옥녀봉으로 향하고 하늘 땅 만남의 시원, 별들의 속삭임으로 고요하네. 기왓장에 핀 꽃이 알까. 언덕길 초록 이끼가 알까. ‘온 누리가 평화라는 초목들의 숨소리만 파고든다.”라고 시를 새겼다.


찾아가는 길은, 서울에서 성주까지 서울남부터미널에서 하루 6회의 고속버스가 운행되어 3시간 10분이 걸리며, 성주버스터미널에서 초전면 행 버스를 타서 소성정류장에 내려 걸어서 5분이면 닿는다. 승용차로는 중부내륙고속도로 남김천나들목으로 나가 초전면 소성리로 향하면 된다.


시민후원으로 지속되는 연구공간 파랗게날의 인문학 강좌는 누구에게나 열린 시민강좌로 참가비는 자율이며, 연구/후원회원 가입으로 우리 곁에 다가서는 인문학에 힘을 더할 수 있다. 회원은 강좌, 유람 등 파랗게날의 모든 행사에 함께하며, 매달 인문월간 초록이파리와 강좌자료집을 받아 읽게 된다. (Daum 검색창에 파랗게날’, 010-9257-1157 이이화)



 

 

0 Comments

Total